![[발표 자료] AWS 잘하는 개발자 되기 - AWS 핵심 서비스 한눈에 보기: EC2, RDS, S3 개념과 활용법](https://devio2024-media.developers.io/image/upload/f_auto,q_auto,w_3840/v1760008778/user-gen-eyecatch/lqv8pxxke27orhtpymkc.jpg)
[발표 자료] AWS 잘하는 개발자 되기 - AWS 핵심 서비스 한눈에 보기: EC2, RDS, S3 개념과 활용법
안녕하세요 클래스메소드 김재욱(Kim Jaewook) 입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지난 2025년 10월 9일에 강의했던 [yes24 무료 강의 이벤트]의 발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이벤트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강의 제목
AWS 잘하는 개발자 되기 - AWS 핵심 서비스 한눈에 보기: EC2, RDS, S3 개념과 활용법
강의 개요
이번 강의는 AWS의 핵심 서비스인 EC2, RDS, S3를 중심으로 AWS 환경에서의 인프라 구성과 운영 개념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먼저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본이 되는 인스턴스를 구성하는 요소(AMI, 인스턴스 유형, 보안 그룹, 키 페어, IAM 역할 등)에 대한 개념을 다룹니다. 이어서 EC2(Elastic Compute Cloud)를 통해 가상 서버의 접속 패턴을 알아봅니다.
다음으로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를 통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을 이해하고, RDS의 구성 요소, 확장성 및 고가용성을 위한 옵션(리드 레플리카, 멀티 AZ 구성)까지 학습하며, RDS에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을 학습합니다.
마지막으로 S3(Simple Storage Service)에서는 객체 스토리지의 구조와 사용 방법을 살펴보고, 스토리지 클래스와 버저닝, 라이프사이클까지 함께 알아봅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수강자는 AWS의 핵심 서비스 구조를 이해하고, 직접 리소스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감각을 익히게 됩니다.
발표자
강의 자료
후기
10월 2일 교보문고 강의에 이어서 10월 9일 yes24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일주일 정도의 준비 기간밖에 없어서 강의 자료가 조금 부족하게 느껴진 부분도 있었습니다. 사실 EC2를 직접 구축해 보고, S3 버킷을 만들어 보거나, RDS를 실습해 보는 등 다양한 실습 중심의 구성을 함께 준비하고 싶었지만, 시간 제약으로 모두 담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그래도 현업에서 AWS를 실제로 활용하며 경험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EC2와 RDS, S3의 핵심 개념부터 실무적인 활용 포인트까지 책에 담았기 때문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한 번 읽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또, 강의에서 다룬 내용을 조금 더 깊이 이해하고 싶으시거나, AWS를 처음 접하시는 분이라면 제가 정리한 글들을 함께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현재 DevIO 블로그에서는 앞으로도 AWS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계속 다룰 예정이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블로그도 지켜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강의 자료에 사용된 책에 대한 정보는 아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