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잘하는 개발자 되기] 책을 집필했습니다.](https://devio2024-media.developers.io/image/upload/v1758104796/user-gen-eyecatch/gph1ukigntgfb9msxtsa.jpg)
[AWS 잘하는 개발자 되기] 책을 집필했습니다.
안녕하세요 클래스메소드 김재욱(Kim Jaewook) 입니다. 오랜 기간 준비한 [AWS 잘하는 개발자 되기] 서적이 9월 16일 예약 판매에 들어갔습니다.
판매 정보는 다음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10월 1일, 드디어 책이 출간됩니다! 집필 과정에서 느낀 점과 함께 책 소개를 블로그에 게시하려 합니다.
집필하면서 느낀 점?
이번에 책을 집필하는 작업도 처음이었고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써야 할까? 어떻게 써야 할까? 많이 고민했습니다. 그래도 다행인 점은 평소 [초등학생도 알아들을 수 있게 설명하자] 라는 마인드로 업무에 임하고 있다 보니 집필을 하면서도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풀어나갈 수 있었습니다. 구성도를 그리는 것도 좋아하다보니 구성도는 정말 재미있게 그려나갔던 것 같습니다.
초심으로 돌아가 AWS 용어와 네트워크 기초를 다시 정리하며, 처음부터 공부하는 느낌이 들어 좋았습니다.
입문자와 숙련자 모두 알았으면 하는 중요한 포인트는 담되, 너무 깊게 들어가지 말자는 생각이었습니다. 다만 쓰다 보니 중간중간 깊게 파고든 부분이 있어 몇 차례 수정하기도 했습니다.
원고를 Google Docs에서만 볼 때는 아직 멀게만 느껴졌습니다. 그런데 표지가 디자인되고 교정이 진행되며 내부 레이아웃까지 확인하는 순간, 드디어 한 권의 책으로 태어나고 있음을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또, 업무와 병행하며 집필을 진행하다 보니 결코 쉬운 과정은 아니었습니다. 이번 경험을 통해 책을 집필하신 분들을 새삼 다르게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이제 책 집필이라는 한 차례 고비가 넘어가고 무료 강의가 남았습니다. 아무래도 기술적인 내용을 포함해서 미팅도 일본어로 진행하다 보니 오히려 한국어로 발표하는 게 어색해진 느낌이지만 잘 준비해서 강의도 무사히 끝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무료 강의에 관심 있으신 분은 다음 사이트를 참고해 주세요.
- 교보문고와 함께 하는<무료 강의> AWS 시작하기: 클라우드 개념부터 IAM까지
- yes24와 함께 하는 <무료 강의> AWS 핵심 서비스 한눈에 보기: EC2, RDS, S3개념과 활용법
다음은 책 소개로 넘어가고 느낀 점은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책 소개
★ AWS 백엔드 서비스 잘 알고, 잘하고 싶으세요?
★ 3년 연속 〈Japan AWS All Certifications Engineer〉를 수상한 공인된 고수가
★ 시스템 구성와 도표를 무려 200여 개 곁들여 확실하게 알려드립니다!
AWS 잘하고 싶은데 어떻게 할지 모르겠는 분이라면, 잘 찾아오셨습니다. 이 책은 2023, 2024, 2025년 3연속 〈Japan AWS All Certifications Engineer〉를 수상한 저자가 개발자 또는 백엔드 엔지니어 대상으로 AWS를 잘 사용할 수 있게 안내합니다.
AWS 세계에 입문할 때 가장 먼저 부딪히는 어려움은 무엇을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알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이 책은 그런 막막함을 덜어주기 위해 〈AWS를 쓰려면 알아야 하는 넓고 얕은 배경지식〉과
〈AWS를 잘 쓰려면 반드시 필요한 네트워크 지식〉을 정리해 담았습니다. 입문자뿐만 아니라, 더 깊게 체계적으로 기본을 다지고 싶은 초보와, 대규모 서비스를 운영하며 얻은 노하우를 엿보고 싶은 중급자 모두에게 유용합니다.
저자 소개
김재욱
현재 클래스메소드(Classmethod)에서 솔루션 아키텍트로 일하며, 일본 기업들을 대상으로 AWS 클라우드 컨설팅, 설계, 구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AWS 클라우드의 모든 자격증을 취득해 2023, 2024, 2025년에는 〈Japan AWS All Certifications Engineer〉를 수상했습니다.
출판사 리뷰
★ 시스템 구성도와 도표 200개 + 연습문제 100문항 + 핵심 정리 100가지!
★ 체계적인 레벨별 학습 코스,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핵심 지식,
★ 풍부한 핸즈온 경험을 바탕으로 AWS 전문가 세계로 안내합니다!
이 책은 AWS를 배우고 싶은 모든 분께 최고의 선택이 될 겁니다.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핵심 특징을 통해 이 책이 여러분의 클라우드 여정을 어떻게 빛낼지 확인해보세요. 참고로, 클라우드 여정 도중에 200개가 넘는 도표와 시스템 구성도가 여러분의 쉬운 이해를 도울 겁니다.
_첫째, 체계적인 레벨별 학습 코스를 통해 AWS 입문부터 전문가 수준까지 성장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0장에서는 AWS 가입부터 실습 환경 구축까지 필수 지식을 제공하며, 〈레벨 1〉에서는 AWS의 기본적인 개념과 네트워크 지식을 다룹니다. 〈레벨 2〉에서는 AWS IAM, EC2, RDS, S3와 같은 핵심 기본 서비스를, 〈레벨 3〉에서는 프론트엔드 및 백엔드 서비스의 상호작용 원리를 파악합니다. 〈레벨 4〉에서는 실제 서버 기반 워드프레스와 서버리스 기반 웹사이트를 직접 구축하며 실전 경험을 쌓고, 〈레벨 5〉에서는 클라우드 환경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하는 6가지 핵심 기술을 마스터하게 됩니다. 이처럼 단계별로 구성된 학습 경로는 여러분이 혼란 없이 AWS 지식을 쌓아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_둘째,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핵심 지식만을 엄선하여 제공합니다
방대한 AWS 서비스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실용적인 개념과 용어만을 선별하여 정리했습니다. AWS의 탄생 배경과 기본적인 서비스 개념(리전, 가용 영역, 탄력성, 확장성 등)부터, 실제 업무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AWS 관리 콘솔, AWS CLI, AWS 클라우드포메이션과 같은 도구에 대한 지식까지 아우릅니다. 또한 “AWS”와 “Amazon” 접두사가 의미하는 바와 같이 서비스의 본질적인 특징을 파악하는 통찰력을 제공하여, 불필요한 정보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진정으로 필요한 역량을 집중적으로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 책 한 권이면 AWS의 핵심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준비를 마칠 수 있습니다.
_셋째, 이론과 실습을 완벽하게 연결하는 풍부한 핸즈온 경험을 제공합니다
단순히 이론을 나열하는 것을 넘어, 클라우드포메이션 템플릿과 AWS 관리 콘솔 UI를 활용한 단계별 실습을 통해 실제 클라우드 환경을 직접 구축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VPC 생성부터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를 활용한 클라우드포메이션 템플릿 관리, AWS Amplify를 이용한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 그리고 로드 밸런서를 통한 서버 부하 분산 설정까지, 모든 과정이 상세하게 안내됩니다. 실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다루는 레벨 1, 2, 3의 환경 구축 방법에 집중하여, 실제 업무 환경에서 마주할 수 있는 문제들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강력한 실전 역량을 길러줄 겁니다. 이 책과 함께라면 여러분은 이론에만 머무르지 않고, 직접 클라우드를 다루는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 AWS 입문자를 위한 네트워크 지식과 배경지식
★ AWS를 잘 쓰려면 꼭 알아야 하는 31가지 실습
★ 클라우드 환경 구축, 운영, 모니터링 기술까지
★ AWS 4대장으로 확실하게 알려드려요
AWS의 설계와 구축을 알리는 첫 출발은 네트워크입니다. 네트워크의 기초 개념을 익힌 후, 이를 바탕으로 AWS에서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고, 구성한 환경 위에 다양한 리소스를 배치해 본격적인 인프라 설계와 구축을 시작해봅시다. 실무 경험이 부족하더라도, 이 책을 끝까지 학습한다면 인프라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다음과 같은 기반 지식과 자신감을 충분히 얻을 수 있을 겁니다.
_[1대장] 네트워크 기초와 AWS 네트워크
AWS 입문자는 네트워크 환경 구성 단계부터 큰 벽에 부딪힙니다. CIDR이 무엇인지, 서브넷은 왜 나눠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합니다. 또한 라우팅 테이블, 인터넷 게이트웨이, NAT 게이트웨이 같은 개념이 낯설고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 책은 네트워크 기초를 먼저 배우고, AWS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살펴본 뒤, AWS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합니다. 나아가 실무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 패턴도 함께 알아봅니다.
_[2대장] AWS 기본 서비스(IAM, EC2, RDS, S3)
AWS에서 네트워크 환경 구성을 마쳤다면, 이제는 그 위에 IAM, EC2, RDS, S3 등 자주 활용되는 서비스를 연계하여 실제 리소스를 배치할 차례입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도 또 하나의 관문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EC2나 RDS를 구축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접속해야 할지 몰라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터넷을 통한 접속 방식부터 SSM, EIC를 활용한 접속까지, 다양한 방법을 비교해보고 가장 적합한 접속 패턴을 선택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_[3대장] 백엔드 서비스 & 프론트엔드 서비스
이제 네트워크 환경 구성과 기본 서비스 활용까지 마쳤다면, 이를 보조하고 확장할 수 있는 다양한 AWS 서비스를 만나볼 차례입니다.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영역으로 나누어 인프라를 더 풍성하고 효율적으로 구성해봅시다.
_[4대장] 서버 기반, 서버리스 기반 서버
이제 네트워크 설계부터 AWS 기본 서비스와 백엔드, 프론트엔드 서비스를 활용해 본격적인 웹사이트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구축한 환경에서 추가로 고려할 수 있는 사항도 함께 알아봅니다. EC2를 대신해, AWS 앰플리파이와 AWS 람다 등을 활용한 서버리스 기반 웹사이트 구축도 준비되어 있으니 어떤 환경에서도 대응할 수 있는 폭넓은 경험을 쌓아봅시다.
★ 이론과 실전을 이어줄 최강의 레시피
★ 이 책에서 다루는 31가지 실습을 소개합니다
_[실습 01] AWS 회원 가입 및 실습 환경 구축 (0장)
AWS 프리 티어를 활용하여 계정을 생성하고, AWS를 시작하기 위한 기본적인 환경을 설정합니다.
_[실습 02] VSCode로 클라우드포메이션 템플릿 관리 (0장)
VSCode에 클라우드포메이션 Linter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JSON/YAML 형식의 템플릿 문법을 검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_[실습 03] 클라우드포메이션으로 AWS 리소스 생성 및 삭제 (0장)
클라우드포메이션 템플릿을 사용하여 AWS 리소스(VPC)를 체계적으로 생성하고 관리하며, 불필요한 리소스를 안전하게 삭제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_[실습 04] 클라우드포메이션으로 AWS 네트워크 환경 구축 (2장)
VPC, 서브넷, 인터넷 게이트웨이 등 AWS 클라우드 네트워크의 핵심 구성 요소를 클라우드포메이션을 이용하여 구축하고 이해합니다.
_[실습 05] IAM 사용자 생성 및 권한 확인 (3장)
AWS IAM을 통해 개별 IAM 사용자를 생성하고, AWS 관리 콘솔 및 AWS CLI 접속을 위한 권한 설정 및 확인 방법을 실습합니다.
_[실습 06] AWS CLI 환경 구성 (3장)
AWS CLI를 설치하고 액세스 키 및 시크릿 키를 설정하여 명령줄에서 AWS 리소스를 관리하는 환경을 구축합니다.
_[실습 07] 아마존 EC2 인스턴스 구축 및 접속 (4장)
가상 클라우드 서버인 EC2 인스턴스를 직접 구축하고, 맥OS 환경과 윈도우 환경에서 접속하는 방법과 [EC2 인스턴스 연결]을 통한 접속 방법을 익힙니다.
_[실습 08] EC2 인스턴스 연결 엔드포인트(EIC)를 이용한 접속 (4장)
인터넷 게이트웨이 없이도 EC2 인스턴스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는 EIC 사용 방법을 배웁니다.
_[실습 09]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EC2 접속 (콘솔 및 포트 포워딩) (4장)
AWS 시스템 관리자의 세션 관리자를 활용하여 EC2 인스턴스에 안전하게 접속하는 다양한 방법을 익힙니다.
_[실습 10] 아마존 RDS 인스턴스 구축 및 EC2를 이용한 접속 (5장)
AW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인 아마존 RDS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프라이빗 서브넷의 EC2 인스턴스를 통해 안전하게 RDS에 접속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_[실습 11] 아마존 S3 버킷 생성 및 활용 (버저닝, 생명주기) (6장)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인 아마존 S3 버킷을 생성하고, 버저닝 기능으로 객체 버전을 관리하고, 생명주기 규칙으로 객체 보존 기간을 설정하여 비용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_[실습 12] EC2 인스턴스와 S3 버킷 연동 (6장)
EC2 인스턴스와 S3 버킷을 연동하여 객체를 효율적으로 내려받고 업로드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_[실습 13] 아마존 라우트53 프라이빗 호스팅 영역 생성 및 도메인 할당 (7장)
아마존 라우트53을 활용하여 비공개 도메인(프라이빗 호스팅 영역)을 생성하고 웹 서버에 도메인을 할당하여 접근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_[실습 14] 아마존 S3와 클라우드프론트 연동을 통한 CDN 환경 구축 (8장)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를 아마존 S3와 연동하여 정적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빠르고 안전하게 전송하는 CDN 환경을 직접 구축합니다.
_[실습 15] AWS 앰플리파이 호스팅을 이용한 웹사이트 호스팅 및 자동 배포 (9장)
AWS 앰플리파이 호스팅을 사용하여 깃허브 리포지터리와 연동, 웹 애플리케이션을 AWS 클라우드에 쉽고 빠르게 배포하고 CI/CD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_[실습 16] 아마존 코그니토를 활용한 회원 가입 및 로그인 구현 (10장)
아마존 코그니토의 사용자 풀과 자격증명 풀을 활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 인증(회원 가입, 로그인)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_[실습 17] 탄력적 로드 밸런서(ELB) 생성 및 EC2 인스턴스 연동 (11장)
애플리케이션 로드 밸런서(ALB)를 생성하고 EC2 인스턴스와 연동하여 웹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분산하고 웹 서버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_[실습 18] 아마존 EC2 오토 스케일링 그룹 생성 및 스케일 작업 (12장)
아마존 EC2 오토 스케일링 그룹을 생성하고 시작 템플릿, 스케일 정책(예약된 작업)을 설정하여 트래픽 변화에 따라 EC2 인스턴스 수를 자동으로 조절하고 클라우드 서버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_[실습 19] 아마존 ECS on 파게이트를 이용한 컨테이너 서비스 구축 (13장)
도커 컨테이너를 AWS ECS on 파게이트 환경에 배포하여 서버 관리 부담 없이 컨테이너 기반 서비스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_[실습 20] AWS 람다 함수 생성 및 실행 (14장)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인 AWS 람다 함수를 생성하고, 특정 이벤트에 반응하여 코드를 실행하는 방법을 실습하며,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이점을 체험합니다.
_[실습 21] 아마존 API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람다 함수 호출 (15장)
아마존 API 게이트웨이를 구축하여 API를 통해 AWS 람다 함수를 호출하고, 백엔드 로직을 간편하게 관리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_[실습 22] 아마존 다이나모DB 테이블 생성 및 람다 함수를 통한 데이터 호출 (16장)
NoSQL 데이터베이스인 아마존 다이나모DB 테이블을 생성하고, AWS 람다 함수를 사용하여 다이나모DB의 데이터를 호출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_[실습 23] 로드 밸런서, EC2, RDS를 활용한 서버 기반 워드프레스 구축 (17장)
탄력적 로드 밸런서, 아마존 EC2, 아마존 RDS for MySQL을 연동하여 보안성, 성능, 확장성을 고려한 실제 서버 기반 워드프레스 블로그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_[실습 24] 워드프레스 웹사이트 운영을 위한 추가 고려사항 (17장)
도메인/HTTPS 설정, 트래픽 분산/자동 스케일, 데이터베이스 고가용성 등 실제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고급 인프라 설계 방안을 탐구합니다.
_[실습 25] 서버리스 웹사이트 구축 (Amplify, Lambda, API Gateway, DynamoDB) (18장)
AWS 앰플리파이, 람다, API 게이트웨이, 다이나모DB 등 서버리스 핵심 서비스를 통합하여 실시간 처리 및 확장성을 갖춘 서버리스 기반 웹사이트를 직접 구축하고 배포합니다.
_[실습 26] AWS 백업을 이용한 EC2 인스턴스 백업 및 복원 (19장)
AWS 백업 서비스를 활용하여 EC2 인스턴스의 정기적인 백업 계획을 수립하고, 필요 시 데이터를 신속하게 복원하여 안정적인 클라우드 환경을 유지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_[실습 27] 플릿 관리자를 이용한 윈도우 EC2 인스턴스 원격 접속 (20장)
AWS 시스템 관리자와 플릿 관리자를 사용하여 윈도우 OS 기반의 EC2 인스턴스에 원격 데스크톱(RDP) 연결을 통해 UI 환경에서 관리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_[실습 28] 아마존 클라우드워치 경보를 활용한 이메일 통지 (21장)
아마존 클라우드워치를 통해 AWS 리소스의 지표를 모니터링하고, 특정 임곗값 초과 시 경보를 발생시켜 이메일로 알림을 받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_[실습 29] AWS WAF와 클라우드프론트를 연동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보호 (22장)
AWS WAF를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와 연동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을 SQL 인젝션, XSS와 같은 일반적인 웹 공격 및 DDoS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_[실습 30] VPC 플로우 로그를 통한 네트워크 트래픽 로그 수집 (23장)
VPC 플로우 로그 기능을 활성화하여 VPC 내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아마존 S3에 저장하여 보안 진단 및 네트워크 통신 문제 해결에 활용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_[실습 31] 관리형 접두사 목록을 활용한 IP 주소 관리 (24장)
고객 관리형 접두사 목록을 생성하여 다수의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보안 그룹에 적용하여 네트워크 보안 규칙의 복잡성을 줄이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이 책에서 다루는 예제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예제를 통해 실용적인 AWS 클라우드 환경 구축 및 운영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_00장 : AWS 소개 및 환경 구축하기
AWS 회원 가입 및 실습 환경 구축: AWS 프리 티어를 활용하여 계정을 생성하고, AWS를 시작하기 위한 기본적인 환경을 설정합니다.
클라우드포메이션(CloudFormation)으로 AWS 리소스 생성 및 삭제: 클라우드포메이션 템플릿을 사용하여 AWS 리소스(VPC)를 체계적으로 생성하고 관리하며, 불필요한 리소스를 안전하게 삭제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VSCode)로 클라우드포메이션 템플릿 관리: VSCode에 클라우드포메이션 Linter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JSON/YAML 형식의 템플릿 문법을 검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_02장 : AWS 클라우드를 잘 쓰려면 알아야 하는 네트워크 지식
클라우드포메이션으로 AWS 네트워크 환경 구축: VPC, 서브넷, 인터넷 게이트웨이 등 AWS 클라우드 네트워크의 핵심 구성 요소를 클라우드포메이션을 이용하여 구축하고 이해합니다.
_03장 : AWS 클라우드를 잘 쓰려면 알아야 하는 기본 서비스
IAM 사용자 생성 및 권한 확인: AWS IAM을 통해 개별 IAM 사용자를 생성하고, AWS 관리 콘솔 및 AWS CLI 접속을 위한 권한 설정 및 확인 방법을 실습합니다.
AWS CLI 환경 구성: AWS CLI를 설치하고 액세스 키 및 시크릿 키를 설정하여 명령줄에서 AWS 리소스를 관리하는 환경을 구축합니다.
_04장 : 가상 클라우드 서버 파악하기
아마존 EC2 인스턴스 구축 및 접속: 가상 클라우드 서버인 EC2 인스턴스를 직접 구축하고, Tera Term (테라텀)을 이용해 접속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EC2 인스턴스 연결 엔드포인트(EIC)를 이용한 접속: 인터넷 게이트웨이 없이도 EC2 인스턴스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는 EIC 사용 방법을 배웁니다.
세션 관리자를 이용한 EC2 접속 (콘솔 및 포트 포워딩): AWS Systems Manager의 Session Manager를 활용하여 EC2 인스턴스에 안전하게 접속하는 다양한 방법을 익힙니다.
_05장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파악하기
아마존 RDS 인스턴스 구축 및 EC2를 이용한 접속: AW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인 Amazon RDS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프라이빗 서브넷의 EC2 인스턴스를 통해 안전하게 RDS에 접속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_06장 :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파악하기
아마존 S3 버킷 생성 및 활용 (버저닝, 생명주기):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인 Amazon S3 버킷을 생성하고, 버저닝 기능으로 객체 버전 관리 및 생명주기 규칙으로 객체 보존 기간을 설정하여 비용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EC2 인스턴스와 S3 버킷 연동: EC2 인스턴스와 S3 버킷을 연동하여 객체를 효율적으로 내려받고 업로드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_07장 : 프론트엔드를 위한 서비스 이해하기
아마존 라우트53(Route53) 프라이빗 호스팅 영역 생성 및 도메인 할당: 아마존 Route53을 활용하여 비공개 도메인(프라이빗 호스팅 영역)을 생성하고 웹 서버에 도메인을 할당하여 접근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_08장 : 콘텐츠 전송을 위한 프론트 서비스 파악하기
아마존 S3와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CloudFront) 연동을 통한 CDN 환경 구축: Amazon CloudFront를 Amazon S3와 연동하여 정적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빠르고 안전하게 전송하는 CDN(Content Delivery Network) 환경을 직접 구축합니다.
_09장 :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프론트 서비스 파악하기
AWS 앰플리파이(Amplify) Hosting을 이용한 웹사이트 호스팅 및 자동 배포: AWS Amplify Hosting을 사용하여 GitHub 리포지터리와 연동, 웹 애플리케이션을 AWS 클라우드에 쉽고 빠르게 배포하고 CI/CD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_10장 : 사용자 인증을 위한 프론트 서비스 파악하기
아마존 코그니토(Cognito)를 활용한 회원 가입 및 로그인 구현: Amazon Cognito의 사용자 풀과 자격증명 풀을 활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 인증(회원 가입, 로그인)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_11장 : 백엔드 서비스 이해하기
탄력적 로드 밸런서(ELB) 생성 및 EC2 인스턴스 연동: Application Load Balancer(ALB)를 생성하고 EC2 인스턴스와 연동하여 웹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분산하고 웹 서버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_12장 : 클라우드 서버 최적화를 위한 백엔드 서비스 파악하기
아마존 EC2 오토 스케일링 그룹(Auto Scaling Group) 생성 및 스케일 작업: EC2 Auto Scaling Group을 생성하고 시작 템플릿, 스케일 정책(예약된 작업)을 설정하여 트래픽 변화에 따라 EC2 인스턴스 수를 자동으로 조절하고 클라우드 서버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_13장 : 컨테이너를 위한 백엔드 서비스 파악하기
아마존 ECS on 파게이트(Fargate)를 이용한 컨테이너 서비스 구축: 도커(Docker) 컨테이너를 AWS Elastic Container Service (ECS) on Fargate 환경에 배포하여 서버 관리 부담 없이 컨테이너 기반 서비스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_14장 : 이벤트 기반 코드 실행 서비스 파악하기
AWS 람다(Lambda) 함수 생성 및 실행: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인 AWS Lambda 함수를 생성하고, 특정 이벤트에 반응하여 코드를 실행하는 방법을 실습하며,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이점을 체험합니다.
_15장 : API 관리를 위한 백엔드 서비스 파악하기
아마존 API 게이트웨이(API Gateway)를 이용한 람다 함수 호출: Amazon API Gateway를 구축하여 API를 통해 AWS Lambda 함수를 호출하고, 백엔드 로직을 간편하게 관리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_16장 : 유연한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파악하기
아마존 다이나모DB(DynamoDB) 테이블 생성 및 람다 함수를 통한 데이터 호출: NoSQL 데이터베이스인 Amazon DynamoDB 테이블을 생성하고, AWS Lambda 함수를 사용하여 DynamoDB의 데이터를 호출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_17장 : 서버 기반 워드프레스 구축해보기
로드 밸런서, EC2, RDS를 활용한 서버 기반 워드프레스 구축: Elastic Load Balancer, Amazon EC2, Amazon RDS for MySQL을 연동하여 보안성, 성능, 확장성을 고려한 실제 서버 기반 워드프레스 블로그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워드프레스 웹사이트 운영을 위한 추가 고려사항: 도메인/HTTPS 설정, 트래픽 분산/자동 스케일, 데이터베이스 고가용성 등 실제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고급 인프라 설계 방안을 탐구합니다.
_18장 : 서버리스 기반 웹사이트 구축해보기
AWS 앰플리파이, 람다, API 게이트웨이, 다이나모DB를 활용한 서버리스 웹사이트 구축: AWS Amplify, Lambda, API Gateway, DynamoDB 등 서버리스 핵심 서비스를 통합하여 실시간 처리 및 확장성을 갖춘 서버리스 기반 웹사이트를 직접 구축하고 배포합니다.
_19장 : 관리를 위한 AWS 서비스 파악하기
AWS 백업(Backup)을 이용한 EC2 인스턴스 백업 및 복원: AWS Backup 서비스를 활용하여 EC2 인스턴스의 정기적인 백업 계획을 수립하고, 필요 시 데이터를 신속하게 복원하여 안정적인 클라우드 환경을 유지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_20장 : 인프라 관리를 위한 서비스 파악하기
플릿 관리자(Fleet Manager)를 이용한 윈도우 EC2 인스턴스 원격 접속: AWS Systems Manager의 Fleet Manager를 사용하여 윈도우 OS 기반의 EC2 인스턴스에 원격 데스크톱(RDP) 연결을 통해 UI 환경에서 관리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_21장 : 모니터링 및 로깅을 위한 서비스 파악하기
아마존 클라우드워치(CloudWatch) 경보를 활용한 이메일 통지: Amazon CloudWatch를 통해 AWS 리소스의 지표를 모니터링하고, 특정 임곗값 초과 시 경보를 발생시켜 이메일로 알림을 받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_22장 : 외부 공격을 보호하는 방화벽 서비스 파악하기
AWS WAF를 클라우드프론트(CloudFront)와 연결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보호: AWS WAF를 Amazon CloudFront와 연동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을 SQL 인젝션, XSS와 같은 일반적인 웹 공격 및 DDoS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_23장 : 네트워크 트래픽 로깅을 위한 서비스 파악하기
VPC 플로우 로그(Flow Logs)를 통한 네트워크 트래픽 로그 수집: VPC Flow Logs 기능을 활성화하여 VPC 내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Amazon S3에 저장하여 보안 진단 및 네트워크 통신 문제 해결에 활용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_24장 : IP 주소를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 파악하기
관리형 접두사 목록(Managed Prefix Lists)을 활용한 IP 주소 관리: 고객 관리형 접두사 목록을 생성하여 다수의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보안 그룹에 적용하여 네트워크 보안 규칙의 복잡성을 줄이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추천사
“실력 좋은 엔지니어라도 AWS와 같은 복잡한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이럴 때, 핵심들을 쏙쏙 잘 정리한 서적이나 자료가 있으면 적응하는 데 드는 시간과 실수를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이 책은 AWS의 중요한 서비스(VPC, RDS)부터 꼭 필요하지만 잘 다루지 않는 부분들(WAF)까지 쉬운 어조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AWS 공부 시에 헷갈리기 쉬운 부분들을 정리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강대명, 래블업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여러 AWS 서비스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는 점이 가장 인상 깊었습니다. 단순히 인프라 구축에만 그치지 않고, 클라우드 환경의 보안(IAM, CloudTrail 등), 모니터링 같은 운영·관리 영역까지 함께 설명되어 있어 매우 유용했습니다. AWS로 처음 웹 개발을 시작하려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며, 기본적인 인프라 환경 구축부터 유지 관리에 필요한 서비스까지 아우르고 있어 클라우드 인프라 전반을 이해하는 데 최적의 길잡이가 될 겁니다.”
서은우, 닛산 JAPAN Devops 개발 엔지니어
“AWS의 기초부터 심화된 개념까지 단계별로 잘 설명되어 있어 초보자부터 실무자까지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책입니다. 특히 실무 예제와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포함되어 있어, 현업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AWS를 처음 접하는 학습자뿐만 아니라, 더 깊이 배우고 싶은 중급자에게도 꼭 권하고 싶습니다. AWS를 학습하려는 모든 분께 자신 있게 추천드립니다.”
박동현, 클래스메소드코리아 매니저
“다른 책에서는 생소하고 난해하게 느껴지던 YAML 설정도 친절하게 설명해 주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림 중심의 설명과 쉬운 용어 사용 덕분에 초보자도 부담 없이 따라갈 수 있었습니다. 특히 네트워크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기본 지식이 있는 분이라면, AWS를 더욱 빠르게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AWS를 유튜브처럼 쉽고 재미있게, 깊이 있게 배울 수 있는 책입니다. 실제 배포를 준비하며 AWS 공부를 하려는 분들께 적극 추천합니다.”
고동수, 학생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이해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기술되어 있다는 점이 가장 좋았습니다. 네트워크 이론까지 함께 다뤄 주어 전공지식이 없는 분들에게도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자격증 학습용으로도 유익해, AWS CLF 자격증을 준비하거나 복습하는 데 적합했습니다. 처음에는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는 AWS도, 이 책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자신감이 붙고 실력이 쌓이는 경험을 하게 될 겁니다.”
정하은, 클래스메소드 코리아 iOS 앱 엔지니어
목차
[레벨 1] AWS 입문하기
00장 AWS 실습 환경 구축하기
_0.1 AWS 회원 가입하기
_0.2 AWS 사용 방법 살펴보기
__0.2.1 AWS 루트 사용자
__0.2.2 레벨별 AWS를 사용하는 방법
_0.3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로 클라우드포메이션 템플릿 관리하기
__0.3.1 맥OS에서 클라우드포메이션 템플릿 관리하기
__0.3.2 윈도우에서 클라우드포메이션 템플릿 관리하기
_0.4 예제 코드 저장소 위치
_0.5 클라우드포메이션 사용해보기
_0.6 AWS에서 생성형 AI 활용 방안
__0.6.1 코드 작성
__0.6.2 솔루션과 트러블 슈팅
01장 AWS를 쓰려면 알아야 하는 넓고 얕은 배경지식
_1.1 AWS 입문하기
__1.1.1 AWS란 무엇인가?
__1.1.2 AWS, 어떻게 탄생했고 왜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가?
__1.1.3 ‘AWS’와 ‘Amazon’ 접두사는 무얼 의미하는가?
_1.2 AWS를 쓰려면 알아두면 유용한 클라우드 지식
__1.2.1 온프레미스
__1.2.2 클라우드
__1.2.3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__1.2.4 서버리스
__1.2.5 리전
__1.2.6 가용 영역
__1.2.7 에지 로케이션
__1.2.8 가용성
__1.2.9 신뢰성
__1.2.10 내결함성
__1.2.11 탄력성
__1.2.12 확장성
__1.2.13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02장 AWS를 잘 쓰려면 알아야 하는 네트워크 지식
_2.1 네트워크 동작 구조와 원리 파악하기
__2.1.1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__2.1.2 통신 규약, 프로토콜
__2.1.3 IP
__2.1.4 IP 주소 체계
__2.1.5 서브넷팅
_2.2 아마존 VPC란?
__2.2.1 아마존 VPC 구성 요소 살펴보기
__2.2.2 서브넷
__2.2.3 인터넷 게이트웨이
__2.2.4 NAT 게이트웨이
__2.2.5 라우팅 테이블
__2.2.6 VPC 엔드포인트
_2.3 AWS 네트워크 설계 시 고려사항
__2.3.1 CIDR은 어떻게 나누어야 할까?
__2.3.2 VPC 분할 패턴
_2.4 AWS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 알아보기
__2.4.1 VPC 피어링
__2.4.2 Site to Site VPN
__2.4.3 트랜짓 게이트웨이
__2.4.4 다이렉트 커넥트
_2.5 AWS 네트워크 환경 구축하기
__2.5.1 클라우드포메이션으로 네트워크 환경 구축하기
__2.5.2 UI로 불러와 AWS 네트워크 환경 구축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레벨 2] AWS를 잘 쓰려면 알아야 하는 기본 서비스 짚어보기
03장 AWS를 잘 쓰려면 알아야 하는 기본 서비스
_3.1 AWS에서 동작하는 웹 서비스 구조와 원리 파악하기
_3.2 권한 관리 서비스, AWS IAM 파악하기
__3.2.1 AWS IAM이란?
__3.2.2 AWS IAM 살펴보기
_3.3 AWS IAM 생성하기
__3.3.1 클라우드포메이션으로 AWS 사용자 생성하기
__3.3.2 UI로 불러와 AWS 사용자 리소스 생성하기
__3.3.3 AWS CLI 환경 구성하기
__3.3.4 AWS MFA 설정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04장 가상 클라우드 서버 파악하기
_4.1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란?
_4.2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살펴보기
__4.2.1 AMI
__4.2.2 인스턴스 유형
__4.2.3 스토리지 옵션
__4.2.4 보안 그룹
__4.2.5 키 페어
_4.3 아마존 EC2 구축하기
__4.3.1 맥OS 환경에서 EC2 인스턴스 접속
__4.3.2 윈도우 환경에서 EC2 인스턴스 접속
_4.4 아마존 EC2 접속 패턴 살펴보기
__4.4.1 인터넷을 통한 EC2 인스턴스 접속
__4.4.2 EC2 인스턴스 연결 엔드포인트 이용
__4.4.3 세션 관리자 이용한 콘솔에서의 접속
__4.4.4 세션 관리자 이용한 포트 포워딩 접속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05장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파악하기
_5.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아마존 RDS란?
_5.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아마존 RDS 살펴보기
__5.2.1 아마존 RDS 엔진 유형
__5.2.2 아마존 RDS의 DB 인스턴스 클래스
__5.2.3 아마존 RDS의 스토리지 유형
__5.2.4 아마존 RDS를 구성하는 DB 그룹
__5.2.5 확장성과 고가용성을 위한 옵션들
_5.3 아마존 RDS 구축하기
__5.3.1 클라우드포메이션으로 아마존 RDS 구축하기
__5.3.2 UI로 불러와 RDS 리소스 생성하기
_5.4 아마존 RDS 접속 패턴 살펴보기
__5.4.1 EC2 인스턴스를 이용한 RDS 접속
__5.4.2 포트 포워딩을 이용한 RDS 접속
__5.4.3 Internet Gateway를 통해 RDS로 접속
__5.4.4 Site to Site VPN을 통해 RDS로 접속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06장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파악하기
_6.1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란?
_6.2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 살펴보기
__6.2.1 스토리지 클래스
__6.2.2 버전 관리를 위한 버저닝 기능
__6.2.3 생명주기 규칙을 활용한 객체 관리
_6.3 아마존 S3 생성하기
__6.3.1 클라우드포메이션으로 S3 생성하기
__6.3.2 UI로 불러와 S3 리소스 생성하기
_6.4 아마존 S3 활용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07장 프론트엔드를 위한 서비스 이해하기
_7.1 프론트엔드 서비스 유형 살펴보기
_7.2 도메인 관리 서비스, 아마존 라우트53 파악하기
__7.2.1 도메인 관리 서비스, 아마존 라우트53란?
__7.2.2 도메인 관리 서비스, 아마존 라우트53 살펴보기
_7.3 아마존 라우트53 활용하기
__7.3.1 아마존 라우트53 프라이빗 호스팅 영역 생성하기
__7.3.2 UI로 불러와 아마존 라우트53 프라이빗 호스팅 영역 생성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08장 콘텐츠 전송을 위한 프론트 서비스 파악하기
_8.1 콘텐츠 전송 서비스,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란?
_8.2 콘텐츠 전송 서비스,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 살펴보기
__8.2.1 콘텐츠 전송 서비스,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 속도 비교
__8.2.2 콘텐츠 전송 서비스,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를 구성하는 옵션
_8.3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 활용하기
__8.3.1 아마존 S3와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 연동하기
__8.3.2 UI로 불러와 아마존 S3와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 연동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09장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용 프론트 서비스 파악하기
_9.1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프론트 서비스, AWS 앰플리파이란?
_9.2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프론트 서비스, AWS 앰플리파이 살펴보기
__9.2.1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프론트 서비스, 앰플리파이 스튜디오 살펴보기
__9.2.2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프론트 서비스, 앰플리파이 호스팅이란?
__9.2.3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용 프론트 서비스, AWS 앰플리파이를 위한 다양한 도구들
_9.3 AWS 앰플리파이 활용하기
__9.3.1 앰플리파이 호스팅으로 CI/CD 환경 구축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10장 사용자 인증을 위한 프론트 서비스 파악하기
_10.1 사용자 인증을 위한 프론트 서비스, 아마존 코그니토란?
_10.2 사용자 인증을 위한 프론트 서비스, 아마존 코그니토 살펴보기
__10.2.1 사용자 풀이란?
__10.2.2 자격증명 풀이란?
_10.3 아마존 코그니토 활용하기
__10.3.1 아마존 코그니토로 로그인 및 회원 가입 구현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11장 백엔드 서비스 이해하기
_11.1 백엔드 서비스 유형 파악하기
_11.2 부하 분산 서비스, 탄력적 로드 밸런서란?
_11.3 탄력적 로드 밸런서 살펴보기
__11.3.1 로드 밸런서의 작동 방식
__11.3.2 로드 밸런서의 대상 그룹과 리스너
__11.3.3 부하 분산을 위한 로드 밸런서의 알고리즘
__11.3.4 환경별 로드 밸런서 구성 패턴 살펴보기
_11.4 탄력적 로드 밸런서 활용하기
__11.4.1 탄력적 로드 밸런서를 생성하고 EC2 인스턴스와 연동하기
__11.4.2 UI로 불러와 탄력적 로드 밸런서를 생성하고 EC2 인스턴스와 연동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12장 클라우드 서버 최적화를 위한 백엔드 서비스 파악하기
_12.1 클라우드 서버 최적화, 아마존 EC2 오토스케일링 이란?
_12.2 클라우드 서버 최적화 서비스, 아마존 EC2 오토스케일링 살펴보기
__12.2.1 클라우드 서버 최적화 백엔드 서비스, 오토스케일링 그룹이란?
_12.3 아마존 EC2 오토스케일링 생성해보기
__12.3.1 오토스케일링 그룹 생성해보기
__12.3.2 UI로 불러와 오토스케일링 그룹 생성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13장 컨테이너를 위한 백엔드 서비스 파악하기
_13.1 컨테이너 서비스, 아마존 ECS란?
_13.2 컨테이너 서비스, 아마존 ECS 살펴보기
__13.2.1 컨테이너 서비스, 아마존 ECR 살펴보기
__13.2.2 컨테이너 서비스, 아마존 ECS 구성 요소
_13.3 아마존 ECS on 파게이트 생성해보기
__13.3.1 아마존 ECS on 파게이트 생성해보기
__13.3.2 UI로 불러와 아마존 ECS on 파게이트 생성하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14장 이벤트 기반 코드 실행 백엔드 서비스 파악하기
_14.1 이벤트 기반 코드 실행 서비스, AWS 람다란?
_14.2 이벤트 기반 코드 실행 서비스, AWS 람다 살펴보기
__14.2.1 이벤트 기반 코드 실행 서비스, AWS 람다 이점
__14.2.2 이벤트 기반 코드 실행 서비스, AWS 람다 구성 요소
_14.3 AWS 람다 함수 생성해보기
__14.3.1 AWS 람다 함수로 Hello World 출력해보기
__14.3.2 UI로 불러와 AWS 람다 함수로 Hello World 출력해보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15장 API 관리를 위한 백엔드 서비스 파악하기
_15.1 API 관리 백엔드 서비스, 아마존 API 게이트웨이란?
_15.2 API 관리 백엔드 서비스, 아마존 API 게이트웨이 살펴보기
__15.2.1 API 관리 백엔드 서비스, 아마존 API 게이트웨이 장단점
__15.2.2 API 관리를 위한 백엔드 서비스, 아마존 API 게이트웨이 구성 요소
_15.3 아마존 API 게이트웨이 활용하기
__15.3.1 API 게이트웨이를 활용해 람다 함수 실행해보기
__15.3.2 UI로 불러와 API 게이트웨이를 활용해 람다 함수 실행해보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16장 유연한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파악하기
_16.1 유연한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아마존 다이나모DB란?
_16.2 유연한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아마존 다이나모DB 살펴보기
__16.2.1 유연한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아마존 다이나모DB 제약
__16.2.2 유연한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아마존 다이나모DB 구성 요소
_16.3 아마존 다이나모DB 활용하기
__16.3.1 AWS 람다 함수로 아마존 다이나모DB 테이블 데이터를 호출해보기
__16.3.2 UI로 불러와 AWS 람다 함수로 아마존 다이나모DB 테이블 데이터를 호출해보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레벨 4]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서비스를 활용한 웹사이트 구축하기
17장 서버 기반 워드프레스 구축해보기
_17.1 서버 기반 워드프레스 구성도 이해하기
_17.2 클라우드포메이션으로 리소스 생성하기
_17.3 EC2 인스턴스와 RDS for MySQL 연동하기
_17.4 EC2 인스턴스에서 워드프레스 구성하기
_17.5 밸런서의 DNS를 이용해 워드프레스로 접근하기
_17.6 워드프레스에서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사항들
__17.6.1 도메인과 고속 콘텐츠 제공
__17.6.2 HTTPS와 로그 설정
__17.6.3 트래픽 분산과 자동 스케일 설정
__17.6.4 데이터베이스 고가용성
_학습 마무리
18장 서버리스 기반 웹사이트 구축해보기
_18.1 서버리스 기반 웹사이트 구성도 이해하기
_18.2 클라우드포메이션으로 리소스 생성하기
_18.3 데이터를 관리하는 다이나모DB 테이블 항목 생성하기
_18.4 웹사이트를 호스팅하는 AWS 앰플리파이 생성하기
_학습 마무리
[레벨 5] 6가지 AWS 관리 기술 익히기
19장 AWS를 관리하는 서비스 파악하기
_19.1 AWS를 관리하는 서비스 유형 파악하기
_19.2 백업 및 복원 관리 서비스 파악하기
__19.2.1 백업 및 복원 관리를 위한 서비스, AWS 백업이란?
__19.2.2 백업 및 복원 관리 서비스, AWS 백업 살펴보기
_19.3 AWS 백업 활용하기
__19.3.1 AWS 백업을 활용해 EC2 인스턴스 백업 및 복원해보기
__19.3.2 UI로 불러와 EC2 인스턴스 백업 및 복원해보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20장 인프라 관리 서비스 파악하기
_20.1 인프라 관리 서비스, AWS 시스템 관리자란?
_20.2 인프라 관리 서비스, AWS 시스템 관리자 살펴보기
__20.2.1 애플리케이션 관리, 파라미터 스토어
__20.2.2 변경 관리, 자동화
__20.2.3 노드 관리, 플릿 관리자
__20.2.4 노드 관리, 세션 관리자
__20.2.5 노드 관리, 명령 실행
__20.2.6 노드 관리, 패치 관리자
__20.2.7 공유 리소스, 문서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21장 모니터링 및 로깅 서비스 파악하기
_21.1 모니터링 및 로깅 서비스, 아마존 클라우드워치 란?
_21.2 모니터링 및 로깅 서비스, 아마존 클라우드워치 살펴보기
__21.2.1 모니터링 및 로깅을 위한 서비스, 메트릭
__21.2.2 모니터링 및 로깅 서비스, 경보
__21.2.3 모니터링 및 로깅 서비스, 로그
__21.2.4 모니터링 및 로깅을 위한 서비스, 메트릭을 취득할 수 있는 서비스
_21.3 아마존 클라우드워치 활용하기
__21.3.1 클라우드워치 경보를 활용해 이메일 통지해보기
__21.3.2 UI로 불러와 클라우드워치 경보를 활용해 이메일 통지해보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22장 외부 공격을 보호하는 방화벽 서비스 파악하기
_22.1 외부 공격을 보호하는 방화벽 서비스, AWS WAF 란?
_22.2 외부 공격을 보호하는 방화벽 서비스, AWS WAF 살펴보기
__22.2.1 AWS WAF의 주요 5가지 기능
__22.2.2 AWS WAF의 관리형 규칙
__22.2.3 AWS WAF의 커스텀 규칙
_22.3 AWS WAF 활용하기
__22.3.1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에 AWS WAF 도입해보기
__22.3.2 UI로 불러와 아마존 클라우드프론트에 AWS WAF 도입해보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23장 네트워크 트래픽 로깅 서비스 파악하기
_23.1 네트워크 트래픽 로깅 서비스, VPC 플로우 로그 란?
_23.2 네트워크 트래픽 로깅 서비스, VPC 플로우 로그 살펴보기
__23.2.1 VPC 플로우 로그 필드
_23.3 VPC 플로우 로그 활용하기
__23.3.1 VPC 플로우 로그를 통해 로그 수집해보기
__23.3.2 UI로 불러와 VPC 플로우 로그를 통해 로그 수집해보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
24장 IP 주소를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 파악하기
_24.1 IP 주소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형 접두사 목록이 란?
_24.2 IP 주소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형 접두사 목록 살펴보기
__24.2.1 고객 관리형 접두사 목록
__24.2.2 AWS 관리형 접두사 목록
_24.3 관리형 접두사 목록 활용하기
__24.3.1 고객 관리형 접두사 목록을 생성해 보안 그룹에 추가해보기
__24.3.2 UI로 불러와 고객 관리형 접두사 목록을 생성해 보안 그룹에 추가해보기
_학습 마무리
_연습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