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e 53 서브도메인을 다른 AWS 계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테스트해보았습니다.
안녕하세요! 클래스메소드 금상원 입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Route 53에 등록된 도메인의 서브도메인을 다른 계정에서 생성해 사용할 수 있는지 직접 테스트해보았습니다.
목표
이번 블로그의 목표는 Route 53에 등록된 도메인의 서브도메인을 다른 AWS 계정에서 생성하고, 실제로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입니다.
테스트 해보기
[1] 계정 B에서 호스트존 생성하기
먼저 계정 B에 서브도메인으로 호스트존을 생성해야 합니다.
AWS 검색창에 「Route53」 를 검색하여 클릭합니다.
Route53 대쉬보드 화면의 좌측메뉴에서 「호스팅 영역」 을 클릭합니다.
호스팅 영역 화면의 우측상단에 있는 「호스팅 영역 생성」 버튼을 클릭 합니다.
호스팅 영역 생성 화면에서 위에서 부터 차례대로 아래의 내용을 설정합니다.
- 도메인 이름 : 생성할 서브도메인의 도메인 이름을 작성합니다.
- 설명 : 필요에 맞게 작성합니다.
- 유형 : 필요에 따라 퍼블릭 호스팅 영역과 프라이빗 호스팅 영역을 선택합니다.
위의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아래의 「호스팅 영역 생성」 버튼을 클릭하여 생성합니다.
[2] 서브 도메인의 NS 레코드 정보 확인하기
생성된 호스팅 영역을 확인하고 클릭하여 생성된 정보를 확인 합니다.
생성한 호스팅 영역 화면애서 「레코드」 탭을 선택하고 나타나는 레코드 중에서 「NS」 레코드의 「값/트래픽 라우팅 대상」 의 내용을 전부 복사하여 보관합니다.
[3] 계정 A의 Route53에서 서브도메인 등록하기
계정 A에서 작성한 메인 도메인의 호스팅 영역 화면에서 우측 상단의 「레코드 생성」 버튼을 클릭 합니다.
라우팅 설정 화면에서 「단순 라우팅」 을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음 화면에서 우측 상단의 「단순 레코드 정의」 버튼을 클릭합니다.
단순 레코드 정의 화면에서 위에서 부터 차례대로 아래의 내용을 설정합니다.
- 레코드 이름 : 계정 B에서 생성한 도메인 이름과 똑같은 값을 입력합니다.
- 레코드 유형 : NS - 호스팅 영역의 이름 서버
- 값/트래픽 라우팅 대상 : [2]에서 복사한 계정 B의 NS 레코드 「값/트래픽 라우팅 대상」 값을 입력합니다.
- TTL(초) : 필요에 맞게 설정 합니다.
위의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아래의 「단순 레코드 정의」 버튼을 클릭합니다.
생성된 단순 레코드 정의 내용을 확인한 후 「레코드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서브도메인 확인해 보기
[3] 까지 설정이 전부 왼료되면 이제 서브 도메인을 사용할 준비가 모두 완료 되었습니다.
서브도메인 설정을 확인하기 위해, 계정 B에서 EC2 인스턴스를 생성한 후 해당 서브도메인으로 웹 서버 접속을 시도해보겠습니다.
계정 B에서 생성한 서브도메인의 호스팅 영역에서 아래의 내용으로 다순 레코드를 생성합니다.
- 레코드 이름 : web서버에서 사용할 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
- 레코드 유형 : A - IPv4 주소 및 일부 AWS 리소스로 트래픽 라우팅 을 설정합니다.
- 값/트래픽 라우팅 대상 : EC2 인스턴스의 퍼블릭 IPv4 주소를 입력합니다.
- TTL(초) : 필요에 맞게 설정 합니다.
위의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아래의 「단순 레코드 정의」 버튼을 클릭합니다.
레코드 생성 후 잠시 기다린 뒤 서브도메인으로 접속하면, 정상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테스트를 통해 다른 계정에서도 서브도메인을 생성해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마무리
이번 블로그에서는 Route 53에 등록된 도메인의 서브도메인을 다른 AWS 계정에서 생성해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굳이 다른 계정에서 서브도메인을 생성하는 이유는, 사용할 수 있는 도메인은 하나지만 운영 환경(메인)과 테스트 환경을 AWS 계정별로 분리해 관리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계정 분리 구조를 사용하거나, 그 외의 이유로 다른 AWS 계정에서 서브도메인을 생성해야 하는 분들께 이번 내용이 작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