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on WorkSpaces에서 인터넷 접속이 안 될 때는?

Amazon WorkSpaces에서 인터넷 접속이 안 될 때는?

Amazon WorkSpaces에서 인터넷 접속이 안 될 때 해결 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2025.09.26

안녕하세요 클래스메소드 김재욱(Kim Jaewook) 입니다. 이번에는 Amazon WorkSpaces에서 인터넷 접속이 안 될 때 해결 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문제 발생

WorkSpaces에 접속 후 인터넷 연결이 안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jw-workspaerr-1

문제 해결

인터넷 연결이 안 되어 있다면 WorkSpaces가 생성된 서브넷의 인터넷 경로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Amazon WorkSpaces의 관리 콘솔에서는 WorkSpaces를 배치하기 위한 Active Directory를 별도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디렉터리를 생성할 때, WorkSpaces를 배치할 VPC와 서브넷을 지정해야 하는데, 이 단계에서 선택된 서브넷이 실제 WorkSpaces가 실행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결정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서브넷을 하나만 지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두 개 이상의 서브넷을 선택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WorkSpaces 서비스의 고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함으로 서로 다른 AZ에 서브넷을 배치하여 장애 상황에서도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따라서 관리자는 WorkSpaces 생성 시 특정 서브넷 하나만을 직접 지정해서 배치할 수는 없습니다. 대신, 지정한 여러 서브넷 중에서 AWS가 자동으로 적절한 서브넷을 선택하여 WorkSpaces를 생성합니다.

jw-workspaerr-2

여기서 한 가지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 있습니다.
WorkSpaces의 디렉터리와 Active Directory는 서로 별개로 생성되는 리소스라는 점입니다.

만약 아래 그림과 같이 인터넷과의 통신 경로가 없는 서브넷에 Active Directory를 생성하고, 동일한 네트워크 환경에 WorkSpaces용 디렉터리를 생성한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

jw-workspaerr-3

이 경우, WorkSpaces 인스턴스가 정상적으로 생성되더라도 인터넷과의 통신이 차단됩니다. 즉, 사용자가 WorkSpaces에 로그인할 수는 있지만, 인터넷 연결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거나 외부 서비스에 접근하려 할 때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WorkSpaces 환경을 구성할 때는, Active Directory를 배치할 서브넷과 WorkSpaces용 디렉터리를 어떤 서브넷에 배치할 것인가 각각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에 WorkSpaces에서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한 것 또한 이와 같은 상황입니다. 인터넷 경로가 없는 서브넷에 WorkSpaces 디렉터리를 배치했기 때문입니다.
※ WorkSpaces 디렉터리와 Active Directory는 별개의 리소스이므로 반드시 동일한 서브넷을 선택할 필요는 없습니다.

Internet Gateway 혹은 NAT Gateway 경로가 설정된 서브넷에 WorkSapces를 생성합니다.

jw-workspaerr-4

설정을 수정한 후 WorkSpaces에 다시 접속하여 인터넷을 열어보면, 정상적으로 웹 페이지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jw-workspaerr-5

본 블로그 게시글을 읽고 궁금한 사항이 있으신 분들은 jaewookkim533@yahoo.com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この記事をシェアする

FacebookHatena blogX

関連記事

Amazon WorkSpaces에서 인터넷 접속이 안 될 때는? | Developers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