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릴레이 - Amazon Data Lifecycle Manager(DLM)을 이용하여 스냅샷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해 봤습니다.

블로그 릴레이 - Amazon Data Lifecycle Manager(DLM)을 이용하여 스냅샷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해 봤습니다.

Clock Icon2025.05.12

안녕하세요! 클라우드 사업본부 컨설팅부의 김재욱입니다.

본 블로그는 당사의 한국어 블로그 릴레이의 2025년 15번 째 블로그입니다.
이번 블로그의 주제는「Amazon Data Lifecycle Manager(DLM)을 이용하여 스냅샷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입니다.

Amazon Data Lifecycle Manager(DLM)?

AWS 공식 문서에 따르면 다음과 같습니다.

Amazon Data Lifecycle Manager를 사용하여 EBS 스냅샷 및 EBS-backed AMI의 생성, 보존 및 삭제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백업 일정을 실행하여 중요한 데이터를 보호합니다.
  • 정기적으로 새로 고칠 수 있는 표준화된 AMI를 생성합니다.
  • 감사 기관이나 내부 규정 준수 부서에서 요구하는 백업을 보관합니다.
  • 오래된 백업을 삭제하여 스토리지 비용을 절감합니다.
  • 격리된 리전 또는 계정에 데이터를 백업하는 재해 복구 백업 정책을 생성합니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ebs/latest/userguide/snapshot-lifecycle.html

AWS Backup으로도 가능하지만, Amazon Data Lifecycle Manager 즉 DLM으로도 스냅샷과 AMI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두 서비스의 차이점은 기능과 목적, 지원 범위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항목 AWS Backup Amazon DLM
목적 중앙 집중식 백업 관리 서비스 EBS 스냅샷의 라이프사이클 관리
지원 리소스 EBS, RDS, DynamoDB, EFS, FSx 등 EBS 볼륨만 지원
백업 저장 방식 AWS Backup Vault (암호화, 버전 관리 등) 일반 스냅샷 저장소

Amazon Data Lifecycle Manager(DLM) 사용해 보기

Amazon DLM에 대해서 살펴봤으니 이번에는 Amazon DLM을 사용해 보도록 합시다.

먼저 EC2 콘솔 화면에서 EBS 카테고리에 있는 [수명 주기 관리자]가 Amazon DLM입니다.

[수명 주기 관리자]를 클릭하고 [다음 단계]를 클릭합시다.

jw-blgdlm-1

이어서 대상 리소스 유형을 지정합니다. 여기서 [대상 리소스 유형]과 [대상 리소스 태그]는 EC2 인스턴스 혹은 EBS 볼륨을 대상으로 할 것인지를 물어보는 것이고, [대상 리소스 태그]는 해당 화면에서 입력한 태그명과 일치하는 인스턴스 혹은 볼륨의 태그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리소스 유형으로 [볼륨]을 선택하고 대상 태그로 Name=test-dlm을 지정하면 Name=test-dlm이 태그로 지정된 모든 볼륨이 정책의 대상으로 지정됩니다.

[대상 리소스 태그]를 입력했다면 [추가]를 클릭합니다.

jw-blgdlm-2

이어서 IAM 역할은 [기본 역할] 정책 상태는 [활성]을 체크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지금 생성할 정책을 바로 활성화할지 혹은 이후에 수동으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할지에 대한 항목입니다.

jw-blgdlm-3

기본 역할에 대해서는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
	"Version": "2012-10-17",
	"Statement": [
		{
			"Effect": "Allow",
			"Action": [
				"ec2:CreateSnapshot",
				"ec2:CreateSnapshots",
				"ec2:DeleteSnapshot",
				"ec2:DescribeInstances",
				"ec2:DescribeVolumes",
				"ec2:DescribeSnapshots",
				"ec2:EnableFastSnapshotRestores",
				"ec2:DescribeFastSnapshotRestores",
				"ec2:DisableFastSnapshotRestores",
				"ec2:CopySnapshot",
				"ec2:ModifySnapshotAttribute",
				"ec2:DescribeSnapshotAttribute",
				"ec2:DescribeSnapshotTierStatus",
				"ec2:ModifySnapshotTier"
			],
			"Resource": "*"
		},
		{
			"Effect": "Allow",
			"Action": [
				"ec2:CreateTags"
			],
			"Resource": "arn:aws:ec2:*::snapshot/*"
		},
		{
			"Effect": "Allow",
			"Action": [
				"ec2:CreateTags",
				"events:PutRule",
				"events:DeleteRule",
				"events:DescribeRule",
				"events:EnableRule",
				"events:DisableRule",
				"events:ListTargetsByRule",
				"events:PutTargets",
				"events:RemoveTargets"
			],
			"Resource": "arn:aws:events:*:*:rule/AwsDataLifecycleRule.managed-cwe.*"
		}
	]
}

이어서 스냅샷의 정책 즉 일정을 구성합니다.

빈도의 경우 일, 월, 주, 연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을 정리해 보면 매일 UTC 시간으로 6시 30분에 1시간 마다 스냅샷을 생성합니다. 또한 이 스냅샷은 총 3개까지 유지할 수 있으며 3개를 넘어간 경우 가장 오래된 스냅샷을 삭제합니다.

매 12시간으로 설정하면 이 경우 06:30 UTC, 18:30 UTC 에 하루 2번 스냅샷이 생성됩니다.

jw-blgdlm-4

결과 확인

콘솔 화면에서는 Amazon DLM이 성공적으로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jw-blgdlm-7

생성한 Amazon DLM을 선택해 보면, 세부 정보를 포함해서 생성&삭제되는 스냅샷 주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jw-blgdlm-8

스냅샷 또한 Amazon DLM에 의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스냅샷 생성에는 최대 1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지정한 시간에 바로 생성되지 않더라도 동작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조금 더 기다려봅시다.

jw-blgdlm-6

마무리

이상, 한국어 블로그 릴레이의 2025년 15번 째 블로그「Amazon Data Lifecycle Manager(DLM)을 이용하여 스냅샷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편이었습니다. 다음 16번 째 블로그 릴레이는 5월 넷째 주에 공개됩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상, 클라우드 사업본부 컨설팅부의 김재욱이었습니다.

Share this article

facebook logohatena logotwitter logo

© Classmethod, Inc. All rights reserved.